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i 요약-허성윤, 진현정 - 대형마트 폐점이 주변상권 매출에 미치는 영향 - 발행: 2024.03.31

보고서 요약 (by ai)

by Sam_Park 2024. 8. 13. 23:03

본문

- 출처 링크 :https://www.bok.or.kr/imer/bbs/P0000556/view.do?nttId=10083301&searchCnd=1&searchKwd=&depth2=500783&depth=500783&pageUnit=10&pageIndex=1&programType=rsrchrData&menuNo=500783&oldMenuNo=500783

 

대형마트 폐점이 주변상권 매출에 미치는 영향 | 경제분석(상세) | 연구자료 | 한국은행 경제연

저자: 허성윤(중앙대학교) , 진현정(중앙대학교) 본 연구는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최근 변화 중 하나인 대형마트 폐점이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 주변상권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

www.bok.or.kr

 

본문 

저자: 허성윤(중앙대학교) , 진현정(중앙대학교)

<요약>
본 연구는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최근 변화 중 하나인 대형마트 폐점이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 주변상권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대규모 점포 인허가 정보를 바탕으로 2020년 11월과 12월에 폐점한 롯데마트 도봉점과 구로점 주변상권을 처치군으로, 인접한 구에 위치한 롯데마트 점포 주변상권을 통제군으로 구성하여 이중차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대형마트 폐점이 반경 2km 주변상권 매출액을 5.3% 정도 감소시켰으며, 주중 매출액과 주말 매출액이 각각 5.0%와 7.8%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권 유형별로는 골목상권 매출액의 7.5%, 매출 건수의 8.9%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과 발달상권 매출액은 양(+)의 계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주변상권 매출 감소는 대형마트 폐점이 유동인구를 감소시켜 나타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형마트와 주변상권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며, 오프라인 유통의 상생을 위한 새로운 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

chat GPT 4o 요약 프롬프트 

PDF 파일의 내용을 요약해 주세요. 요약은 다음 기준을 따르세요: 1. 전체 문서의 주요 목적과 결론을 포함하세요. 2. 각 섹션의 핵심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세요. 3. 중요 데이터나 통계가 있다면 포함하세요. 4. 기술적 용어는 가능한 쉽게 설명해 주세요. 5. 요약 길이는 300-500 단어 정도로 해주세요

---

이 논문은 대형마트 폐점이 주변 상권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입니다. 주요 목적은 서울시 내 롯데마트 도봉점과 구로점의 폐점이 인근 상권에 미친 경제적 영향을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입니다.

주요 목적과 결론

연구의 주요 목적은 대형마트 폐점이 주변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 다양한 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연구 결과, 대형마트 폐점은 반경 2km 이내의 주변 상권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골목상권에서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주중보다 주말에 더 큰 매출 감소가 나타났고, 이는 대형마트가 지역 소비 패턴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합니다.

각 섹션의 핵심 내용

  1. 서론: 대형마트의 국내 시장 진입 배경과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최근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변화와 대형마트 폐점의 중요성을 제시합니다.
  2. 선행연구: 대형마트가 자영업 상권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합니다. 국내외 연구들에서 대형마트의 입점이 소매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대부분이었으나, 폐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지적합니다.
  3. 분석 방법: 이중차분법(DID)을 사용하여 대형마트 폐점 전후의 매출 변화를 분석합니다. 서울시 내 두 개의 롯데마트 폐점 사례를 중심으로 처치군(폐점 지역)과 통제군(비폐점 지역)을 비교합니다.
  4. 분석 결과: 대형마트 폐점이 인근 상권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합니다. 특히, 골목상권에서 매출액이 약 7.5% 감소했으며, 주중보다는 주말 매출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대형마트 폐점이 지역 소비자의 주말 쇼핑 패턴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5. 상권 유형별 분석: 골목상권에서의 매출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전통시장과 발달상권에서는 유의미한 매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대형마트와 골목상권 간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시사합니다.
  6. 강건성 검토: 다양한 통제군 설정을 통해 분석 결과의 강건성을 확인했습니다. 위약효과 검토를 통해도 대형마트 폐점의 부정적 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났음을 확인했습니다.

중요 데이터

  • 대형마트 폐점 후 반경 2km 내의 상권 매출액은 평균적으로 약 5.3% 감소.
  • 주중 매출액은 5.0%, 주말 매출액은 7.8% 감소.
  • 골목상권에서 매출액이 7.5%, 매출 건수는 8.9% 감소.

결론

이 연구는 대형마트 폐점이 인근 상권, 특히 골목상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형마트와 주변 상권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유통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ai 그림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