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 현금정책과 비현금정책을 중심으로 | 경제분석(상
저자 : 박혜림(한국지방세연구원)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을 현금정책과 비현금정책으로 분류하여 지자체 출산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지자체 출산지원정책
www.bok.or.kr
링크 본문
<요약>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을 현금정책과 비현금정책으로 분류하여 지자체 출산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지자체 출산지원정책 중 현금지원정책의 효과에 대해 주로 분석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지자체 출산지원정책을 출산지원금의 현금지원정책과 돌봄센터, 어린이 회관 등의 서비스·인프라 정책으로 분류한 뒤 각 정책이 출산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2009~2021년 226개 기초자치단체 단위 연도 및 지역 패널고정효과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출생아순위에 따라 가중평균된 출산지원금과 지자체 내의 서비스·인프라 아동 1인당 예산액 모두 합계출산율 상승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지자체 출산지원정책에 있어 가구 내 일반적 소득을 높여주는 현금지원정책 뿐만 아니라 육아의 비용을 직접적으로 줄여주는 서비스·인프라 정책 또한 출산율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의 초저출산 현상은 사회문화적·경제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지자체 출산지원정책만으로 출산율을 반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에서 현금지원정책 외 특색있는 비현금정책도 함께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chat gpt4o
- 프롬프트
PDF 파일의 내용을 요약해 주세요. 요약은 다음 기준을 따르세요:
1. 전체 문서의 주요 목적과 결론을 포함하세요.
2. 각 섹션의 핵심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세요.
3. 중요 데이터나 통계가 있다면 포함하세요.
4. 기술적 용어는 가능한 쉽게 설명해 주세요.
5. 요약 길이는 300-500 단어 정도로 해주세요.
이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지원정책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현금정책과 비현금정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현금지원과 서비스·인프라 구축이 출산율 상승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평가한 결과, 두 가지 정책 모두 출산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 현금지원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비현금지원 정책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논문은 지자체 출산지원정책의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비현금지원정책이 출산율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출산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