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ai요약 : [BOK 경제연구] 이종민, 김민정 [제2022-9호] 북한 수출입단가지수 추정: 북중무역 데이터를 중심으로- 발행 : 2022.04.19
Sam_Park
2024. 11. 25. 07:31
- 출처 링크 :
- 출처 링크 본문
제목 : 북한 수출입단가지수 추정: 북중무역 데이터를 중심으로
저자 : 이종민(북한경제연구실), 김민정(북한경제연구실)
<요약>
본 연구는 북중무역 데이터를 사용하여 북한 수출입단가지수를 추정한 것이다. 북중무역이 북한 전체 수출입의 과반을 넘어선 2006~2017년중 분기자료를 사용하였고, 지수 계산 방법으로 연쇄라이파이레스 산식을 적용하였다. 수출입단가지수를 추정한 결과, 수출단가지수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상승하다가 이후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수입단가지수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상승하다 이후 완만하게 하락하였다. 특히, 수출단가지수 는 대중 석탄 수출 가격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국제 광물 가격 변화에 연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출된 수출입단가지수를 이용하여 2006~2016년 중 대중 수출입을 가격 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분해해보면, 수출액의 증가는 대부분 물량 증가로 설명되고, 수입액의 증가는 가격 상승과 물량 증가의 기여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10년대 초반에는 그 이전과 비교할 때 수입액 증가에 있어 물량 증가가 큰 역할을 하였다. 즉, 소비자 후생 증대나 중간재 공급 확대 등 대중 수입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이 2000년대보다는 2010년대에 더 두드러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북한의 대중국 순상품교역지수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대체로 개선되다 2012년 이후 악화되었다. 또한 2012년부터 2016년 사이 북한의 대중실질무역손익이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보였는데 이는 이 시기에 북한 내 경제주체의 후생 변화와 더 밀접한 국내총소득(GDI)의 증가율이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에 못 미쳤을 것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북한 거시경제 분석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로서 수출입단가지수를 추정·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다만, 추정된 단가지수가 대중무역에 한정되고 시계열이 2006~2017년으로 다소 짧다는 한계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대상 시기와 대상 국가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stimates North Korea's export and import unit value index using Sino-North Korean trade data. We use quarterly data from 2006 to 2017, when China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North Korea's total foreign trade volume. In addition, the export/import unit value index is computed using a chained Laspeyres index formula.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export unit value index rose from 2006 to 2012 and then declined relatively sharply, while the import unit value index rose from 2006 to 2014 and then declined gradually. In particular, the export unit value index is greatly affected by the export price of coal to China, and thus shows a tendency to be linked to changes in international mineral prices. When we decompose North Korea’s exports and imports with China from 2006 to 2016 into price factors and quantity factors, the increase in exports is mostly explained by an increase in quantity.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apparent that the price increase and the quantity increase have a similar contribution to the increase in imports. However, the increase in volume played a major role in increasing imports in the early 2010s, compared to earlier time period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imports from China on the North Korean economy, such as increased consumer welfare or an increased supply of intermediate goods, were more pronounced in the 2010s than in the earlier 2000s. Meanwhile, North Korea's net barter terms of trade index with China improved from 2006 to 2011, but deteriorated after 2012. Also, from 2012 to 2016, North Korea's real trading losses with China shows an increasing trend. This indicates that the growth rate of gross domestic income (GDI), which is more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he welfare of economic agents in North Korea, could be below the level of the growth rate of gross domestic product (GDP)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estimates of the export/import unit value index, which is essential for any macroeconomic analysis of North Korea.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estimated unit value index is confined to Sino-North Korean trade and the time series is rather short, only from 2006 to 2017.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iod and number of countries in further studies.
- 요약 파일 - 접은 글
---
chat GPT 4o 요약 프롬프트
PDF 파일의 내용을 요약해 주세요. 요약은 다음 기준을 따르세요: 1. 전체 문서의 주요 목적과 결론을 포함하세요. 2. 각 섹션의 핵심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세요. 3. 중요 데이터나 통계가 있다면 포함하세요. 4. 기술적 용어는 가능한 쉽게 설명해 주세요. 5. 요약 길이는 500 단어 정도로 해주세요
---
이 문서는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에서 발행한 것으로, 북중무역 데이터를 사용하여 북한의 수출입단가지수를 추정한 연구입니다. 문서는 북한의 경제상태 분석 및 교역 조건 변화 이해를 목표로 작성되었으며, 주로 2006년부터 2017년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목적
- 북한 수출입단가지수 추정: 북한 대중무역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출입 가격 변동과 물량 변화를 분석.
- 북한 경제 분석 기초 자료 제공: 수출입단가지수를 통해 교역 조건과 경제 성장을 평가.
연구 방법
- 데이터 출처: 중국 해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무역협회(KITA) 제공 데이터 활용.
- 기간: 2006~2017년 (2017년 이후 대북 제재로 데이터 안정성이 낮아 제외).
- 지수 계산: 연쇄 라스파이레스 산식을 사용해 품목별 가격 변동을 가중평균하여 단가지수 계산.
주요 결과
- 수출입단가지수
- 수출 가격: 2006~2012년 상승, 이후 하락. 광물(특히 석탄) 수출 가격 변동이 주요 원인.
- 수입 가격: 2014년 정점 이후 완만한 하락. 다양한 소비재와 중간재로 구성되어 가격 안정성 상대적으로 높음.
- 산업별 분석
- 수출: 광업이 가장 큰 비중(50~66%)을 차지, 섬유·가죽 산업이 점진적 비중 증가.
- 수입: 농수산물, 기계·전자제품, 화학제품이 고르게 분포. 중간재 수입 가격 상승이 제조업 비용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 제기.
- 교역 조건
- 2012년 이후 북한의 대중 교역 조건 악화. 수출 가격 변동성이 수입보다 더 큼.
- 국제 광물 가격과 연동해 수출 가격 변동 관찰됨.
결론 및 시사점
- 북한 경제 분석에 기초 자료 제공: 수출입 단가지수를 통해 북한의 대중무역 의존도를 객관적으로 분석.
- 정책적 함의:
- 남북 경제 협력 및 교역 조건 개선 필요성 강조.
- 국제 광물 시세의 영향을 줄이는 무역 다변화 필요.
- 한계:
- 분석 기간이 짧고, 데이터가 대중무역에 한정됨.
- 향후 일본, 남한 등 주요 교역국 포함한 연구 필요.
주요 통계
- 북한 대중무역 의존도: 2006년 56.7% → 2017년 92.9%.
- 광물 수출 비중: 2000년대 초반 1.3% → 2010년대 중반 50% 가까이 증가.
이 연구는 북한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과 대외 교역 구조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향후 남북 경제협력과 정책 설계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